로고

전체메뉴 열기 모바일메뉴 열기
모바일 메뉴 닫기

족보용어

代(대)와 世(세)에 대한 見解(견해)

 

2005年까지만 하더라도 成均館(성균관)에서조차 代와世를 區分하는 일이 있었고 敎科書(교과서) 冊子(책자)에 代와世 說明(설명)에서 區分하여 說明하고 있고 各 門中 大宗會도 그것을 따르는 門中이 허다하였습니다.

허나 討論(토론)과 先祖의 文獻(문헌)을 分析(분석)한 結果(결과) 代와世는 같은걸로 結末(결말)이 났으며 敎科書 部分을 2010年 以後 敎科書에서는削除(삭제)가 되고 이것은 現在(현재) 成均館 公式(공식) 基準表(기준표)입니다.

아직까지 各 門中에서는 代와世를 같이 使用(사용)하는 門中이 있고 또한 代 와 世를 區分하여 즉 代를 使用할때 世 에서 하나를 빼고 使用하는 門中도 있습니다.

 

예1

 

1] 代 와 世는 같고 代 나 世는 祖孫(조손) 間, 혹은 孫祖(손조) 間에 차례 순서이고

2] 世孫 〓 代孫 역시 같은 말이며 上代祖(상대조)를 제외하고 後孫(후손)만 헤아리는 祖孫 間의 關係이며

3] 世祖 〓 代祖는 下代(하대)를 除外하고 先祖만 헤아리는 孫祖 間의 關係입니다.

 

예2

 

祝文을 쓸 때는[자기가 28世이고 先祖는 8世 인 경우]

1] 20代孫 00 敢昭告于(감소고우)

顯20代祖考(조고) 奉翊大夫(봉익대부) 判圖判書(판도판서) 簡惠公(간혜공) 府君(부군).........[O]

2] 28世 00 敢昭告于(감소고우)

顯8世 奉翊大夫(봉익대부) 判圖判書(판도판서)  簡惠公(간혜공) 府君(부군)..............................[O]

3] 28世孫 00 敢昭告于(감소고우)

顯20代祖考(조고) 奉翊大夫(봉익대부) 判圖判書(판도판서) 簡惠公(간혜공) 府君(부군).........[×]

4] 21世孫 00 敢昭告于(감소고우)

顯20代祖考 奉翊大夫(봉익대부) 判圖判書(판도판서) 簡惠公(간혜공) 府君(부군)....................[×]

 

1. 南平文氏의 乙酉年(을유년) 羔峴齋祝文(고현재축문) 中 代와世에 대한지적.

[韓國傳統呼稱典禮硏究院(한국전통호칭전례연구원) 李星衡氏( 이성형씨)]

 

1] 世代同義(세대동의)와 異義(이의)의 區分(구분)과 差異(차이)

五世孫(오세손) 00 敢昭告于(감소고우)

顯5代祖考(현5대조고)는 나의 子를 1世孫으로 세는 것으로 同義(동의)이고

六世孫(육세손) 00 敢昭告于(감소고우)

顯五代祖考(현오대조고)는 나를 나의 1世孫으로 세는 것은 異義(이의)입니다.

 

<羔峴齋乙酉年時祀祝(고현재을유년시사축 )文의

19世 孫 (손)00 敢昭告于 顯18代祖考(현18대조고)>世代 異義(이의)이고,

 

<愛松齋(亭)丁巳年時祀祝文(애송재(정)정사년시사축)文의

十二代(십이대) 孫昶集(손창집) 敢昭告于(감소고우)顯十二代祖考(현십이대조고)>同,異義(동,이의)

區分(구분) 없는 上代 下代(상대 하대)입니다.

 

2] 이의(異義)의 성쇠(盛衰)

개화기(1895)이후 대두(擡頭)되어 20세기 후반에 크게 확산되었으나 성균관에서 2006년에 동의(同義)로 선회(旋回)하고 이어 견지(堅持)하던 이의(異義)가 오류 (誤謬)였음을 시인 하였습니다.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에서 貴門의 용례(用例)를 찾지 못하여 귀 종회 홈에 올려있는 기문(記文) 수례를 찾았으나 판독(判讀)과 계보(系譜)확인을 못하여 단언(斷言)을 못하니 귀하가 記文을 상고(詳考)하여 계보를 확인하면 조선(祖先)의 정례(定例)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3] 同義가 옳다는 확신이 안서면 異義者(이의자)는 5代孫=6世孫이라하니 愛松齋(애송재 )(亭(정)축문과 같이

상대하대(上代下代=5代孫 敢昭告于(5대손 감소고우)....顯5代祖)로 쓰십시오.

그러면 祖上을 그분의 1世孫으로 세는 망발(妄發)은 안됩니다.

 

愛松齋(亭)丁巳年時祀祝文(애송재(정)정사년시사축문)

十二代孫(십이대손) 昶集敢昭告于(창집감소고우) 顯十二代祖考(현십이대조고) 承仕郞觀象院(승사랑관상원)

訓導府君(훈도부군)

 

韓國傳統呼稱典禮硏究院(한국전통호칭전례연구원) 李星衡 씀

順平府院君派(순평부원군파) 廣陵(광릉) 盤如(반여) 28世 文明奎 옮김

 

5대손

4대손

3대손

2대손

1대손

0

1대조

2대조

3대조

4대조

5대조

6

5

4

3

2

1

來孫(래손)

玄孫(현손)

曾孫(증손)

孫子(손자)

父(부)

祖父(조부)

曾祖(증조)

古祖(고조)

玄祖(현조)

 

 

▼ 족보용어 설명

 

족보의 용어는 한문이 많을 뿐 아니라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말들이 많습니다. 보다 족보에 편하게 접하시도록 족보의 용어를 설명하였습니다.

 

시조(始祖)

 

최초의 선조로 남평 문씨 시조는 무성공 휘 다성으로 신라 말에 탄강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