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체메뉴 열기 모바일메뉴 열기
모바일 메뉴 닫기

문바위와 문양각

문바위(文巖)와 문암각(文巖閣)

 

소재지 - 나주시 남평면 풍림리

구 분 - 민속자료 32호

 

 

문암(文巖)과 문암각(文巖閣)

시조 문다성(文多省)께서 탄강하신 바위라 하여 문암(文巖-문바위)이라고 하며 전남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 장자산(사자산)기슭 장자지(長者池) 연못 언덕에 수천 년의 역사와 함께 장엄한 위용을 자랑하며 우뚝 서있어 이곳에서 탄강하신 시조 무성공(다성)의 기상과 얼을 가늠케 한다.

문암각(文巖閣)은 문암(文巖)을 보호하기 위하여 세워진 각(閣)이다.

 

si06.jpg

 

si07.jpg

 

si08.jpg

 

 

이곳은 남평문씨의 시조이신 무성공 휘 다성 남평백 삼광선생께서 탄강하신 곳이다.

따라서 국내외 모든 남평문씨 일족은 이곳을 성지로 여겨 왔다. 천여 년의 세월이 흐름에 따라 비록 암석이긴 하지만 풍우로 퇴락(頹落)할 우려가 있어 이 바위를 보호하기 위한 우각(宇閣)의필요성이 절실했다.

다행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창시자인 묘예(苗裔)인 선명(鮮明)이 이 일을 중요하게 여겨 문중의 성원 속에 본각을 완성하게 되니 우리 남평문씨 일족은 기쁘고 고맙기 그지없다.

이 보호전(保護殿)인 문암각의 낙성을 기념하여 선명 종장(鮮明 宗長)의 갸륵한 숭조애족성심을 길이 후예들에게 전하고자 이 편석(片石)을 여기에 세운다.

서기 2000(庚辰)년 10월

남평문씨대종회

장연서원관리위원회

 

 

si09.jpg

1975년 건립된 문암각- 2000년 현재 문암각으로 개축되었음

 

 

문암각(文岩閣) 신축사실 및 문암각비

 

문암각은 본시 文岩門이었는데 건립 후 근 100년 풍마우세(風磨雨洗)하여 지탱((支撐)할 수 없는 차제 서기1975년 음 월 일에 본원 개보수추진위원회의 발의로 후손 선명(鮮明0이 독담(獨擔)하여 門을 閣으로 개조 신축하였다. 동시에 사실을 기전(記傳)키 위하여 문암각비를 건립하였다.

문암에 현각(顯刻)된 文巖 2자는 후손 장령(掌令) 약연(躍淵)의 친필이다1975년 장연서원 개보수추진위원회 문암각 비문서기 412년 남평문씨 시조 무성공 휘 다성 삼광선생이 이곳에 탄강하시다.

이 성지를 길이 빛내고 기념하고자 정성을 다해 보호한다. 1851년 후손 약연(躍淵)이 문간비(門間碑)를 건립하였고 후손 낙홍(樂洪)이 문각(門閣)을 건축하였으나 반백년 풍우에 지탱(支撐)치 못하였다. 1975년 장연서원 개보수추진위원회의 발의로 후손 선명(鮮明)의 정성어린 도움을 득하여 문암각과 기념비를 건립하다.

1975년 12월 장연서원 개보수추진위원회

 

 

문암각 비문

 

서기 412년 남평문씨 시조 무성공 휘 다성 삼광선생이 이곳에 탄강하시다.

이 성지를 길이 빛내고 기념하고자 정성을 다해 보호한다. 1851년 후손 약연(躍淵)이 문간비(門間碑)를 건립하였고 후손 낙홍(樂洪)이 문각(門閣)을 건축하였으나 반백년 풍우에 지탱(支撐)치 못하였다. 1975년 장연서원 개보수추진위원회의 발의로 후손 선명(鮮明)의 정성어린 도움을 득하여 문암각과 기념비를 건립하다.

1975년 12월 장연서원 개보수추진위원회

 

 

장자지(長者池)

시조 무성공(다성)께서 탄강하신 장자산 기슭 문암(文巖) 아래에 있는 연못으로써 덕망이 높은 큰 위인이 태어났다 해서 장자(長者)라는 이름을 붙여 장자지(長者池)라 했으며 아무리 가물어도 이 연못은 물이 마르지 않았다고 한다.

장자못은 1970년경에도 고기가 많아 수렵 도 하고 시조단의 앞으로 배가 다녔으나 토사가 쌓여 매립이 되어 주변은 논이 되었고 단소 입구까지 차량진입이 가능하다.

 

 

장연서원(長淵書院)

시조께서 탄강하신 문암(文巖) 앞 장자지 건너편에 건립된 서원(書院)으로 큰 인물이 연못가에서 태어나신 곳이라 하여 장연서원(長淵書院)이라 이름 하였고 서원 경내에 상덕사(尙德)충선공영당(忠宣公影堂). 악강당(嶽降堂). 오현사비(五賢士碑). 오사제(五思齋). 빙아루()가 있으며 서원 입구에 홍전문(紅箭門) 등이 있으며 해마다 음력 9월중정(中丁)일에 <시조 무성공. 경정공. 충숙공. 효혜공. 충선공) 등 오현(五賢)의 향사를 유림(儒林)들과 후손들이 모시고 있다.

(장연서원의 자세한 사항은 문씨서원의 장연서원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