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族譜)란 |
족보는 같은 씨족의 세계(世系)를 수록한 것으로 한 종족의 혈연관계를 체계적으로 나타낸 책이다. 이는 혈통을 실증하는 귀중한 문헌 이므로 후손으로 하여금 자신의 역사를 알게 하여 조상을 존경하고 종족의 단결을 도모하는데, 기여 하는바 큰 것이다.
우리나라의 족보는 세계에서 부러워 할 정도로 잘 발달된 족보로 정평이 나있으며, 계보학의 종주국으로 꼽힌다. 외국에도 '족보학회'나, 심지어는 족보전문 도서관이 있는 곳이 있는 등 가계(家系)에 대한 관심이 많지만 우리처럼 각 가문마다 족보를 문헌으로까지 만들어 2천년 가까이 기록 해온 나라는 없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계보학 자료실에는 600여종에 13,000여권의 족보가 소장되어 있다.
▼족보의 의의 |
족보는 성씨와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의 하나로 시조부터 역대 조상의 얼과 역사가 담겨져 있으며 같은 성씨를 가진 대부분의 사람이 족보에 실려 있어 나와 집안의 뿌리를 알 수 있는 한 집안의 역사책이다.
이에 따라 옛날부터 족보는 집안의 보물처럼 소중히 간직하고 이를 대할 때는 상위에 모셔놓고 정한수를 떠서 절을 두 번한 후에 경건한 마음으로 살아계신 조상을 대하듯 하였으며 자신의 목숨보다 중요하게 여겼다.
이처럼 소중하게 여겨온 족보가 해방 후 서양화와 지금의 핵가족 제도가 되면서 봉건사상의 유물로만 생각하고 도외시하는 경향이 일고 있다. 그러나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말에서, 또 지금도 '근본이 없는 사람' 으로 치부되었을 때 그 하나만으로도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조상들이 족보를 왜 그렇게 소중히 여겼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족보는 '피의 기록이며 혈연의 역사' 이다.
우리 조상들이 목숨을 바쳐가면서 지켜온 족보를 자랑스러운 전통으로 이어야 할 것이다.
▼족보의 역사 |
우리나라의 족보는 중국의 성씨제도(姓氏制度)라 할 수 있는 한식씨족제도(漢式氏族制度)를 근본으로 삼고 발전하여 정착했는데, 그 시기는 1000 여 년 전인 신라 말·고려 초기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것은 삼국사기나 옛 문헌에 보면 고구려나 백제 계통의 성(姓)은 그 계보(系譜)가 후대와 거의 연계되고 있지 않으며 다만 신라의 종성(宗姓)과 육성(六姓)[이(李), 최(崔), 정(鄭), 설(薛), 손(孫), 배(裵)] 및 가락국계(駕洛國系)의 김해김씨(金海金氏)만이 후대의 계보(系譜)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그 이후로부터는 귀족 사이에서 가첩(家牒)이나 사보(私報)로 기록하여왔는데, 이러한 가계기록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 중기에 오면서 족보형태를 갖추는 가승(家乘)· 내외보(內外譜)· 팔고조도(八高祖圖)로 발전 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족보는 고려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으로 고려 의종(18대, 1146~1170)때 김관의(金寬毅)가 지은 『왕대종록(王代宗錄)』이 처음이다. 그러나『고려사』를 보면 고려 때에도 양반 귀족은 그 씨족계보를 기록하는 것을 중요시하였고, 제도적으로 종부시(宗簿寺)에서 족속의 보첩을 관장했다는 것으로 보아 당시의 귀족 사이에는 계보를 기록 보존하는 일이 실제로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는 사대부 집안에서 사적으로 간행되기 시작하였으나, 1476년(조선 성종7년)의 『안동권씨 성화보(安東權氏 成化譜)』가 체계적인 족보 형태를 갖춘 최초의 족보이다. 이후 1565년(조선 명종20년)에는 『문화유씨 가정보(文化柳氏 嘉靖譜)』가 혈족 전부를 망라하여 간행되면서 이를 표본으로 하여 명문세족에서 앞을 다투어 족보를 간행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7세기 이후 여러 가문으로부터 족보가 쏟아져 나오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족보가 이 때 만들어 지기 시작했다.
조선 초기에 간행된 족보의 대부분은 족보간행을 위해 초안을 하고 관계 자료를 충실히 보완한 뒤 간행에 착수하여 내용에 하자가 없었다. 그러나 이후의 족보들은 초안이나 관계 자료의 검토, 고증도 없이 자의적으로 기록하여 간행된 것이 많았다.
그리하여 자의적인 수식이 가하여 졌음은 물론이며 조상을 극단적으로 미화하고, 선대의 벼슬을 지나치게 과장하거나 조작하고, 심지어 명문 집안의 족보를 사고 팔거나 훔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족보를 간행함으로써 자신의 가문의 격을 높이려는 마음에서 야기된 것이었다.
< “뿌리를 찾아서”에서 일부 인용>
▼족보 분류 |
▶ 내용에 의한 족보 분류
대동보(大同譜) |
일족 전체의 부계(父系)의 혈연관계와 선조의 묘소, 배우자와 배우자의 부모 등을 상세하게 기록한 족보로 기록내용이 가장 많고 상세하다. 남평문씨 최신의 대동보는 1995년에 발행한 남평문씨 대동보는 25만여 명을 문파별로 구분하고 세손별로 정리하여 21권으로 발행하였다. |
파 보(派 譜) |
파의 문중에서 문중의 소속원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록한 족보이다 파보는 대동보 작성의 근거가 되며 일가들의 화합에도 일조 하고 있습니다. |
화 수(花 樹) |
선조는 뿌리로, 조상은 줄기와 가지로, 자손은 잎(꽃)으로 하여 나무의 모양처럼 표시하고 이름을 적어 넣은 나무 그림 모양의 족보입니다 남평문씨 화수보라면 시조(중시조)는 뿌리가 되고 10대 문파의 파조는 가지가 되며 충선공의 가지에는 작은 가지가 5개 문파가 되면 아래 문파들은 줄기로 되는 것입니다. |
세계보(世系譜) |
표 형태로 하여 시조부터 대대로 이어지는 이름만을 적은 족보입니다. |
가 승(가 첩) |
가승(가첩) 개인이나 가계의 윗대를 적어 연결한 가장 간단한 족보의 형태입니다 개인주의가 확충되고 복잡함을 싫어하는 현대인에게 적합한 형태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
▶ 기록 매체에 의한 족보 분류
종이족보 |
남평문씨 최신의 대동보는 1995(을해)년 발간되었습니다. 전체 21권으로 가격은 315,000원이었으며 판매가 완료되었으나 재판 발행은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수록인원은 남평문씨 생존자 43만여 명중 17만 명 정도로 추산되며 이를 분석하면 43만 명중 딸들의 누락이 20여만 명으로 보이며 남자의 누락도 5만여 명은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 종이족보의 문제점 ① 추가나 수정이 되지 않아서 차기 족보를 만들 때 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② 검색이 불가능하여 자신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③ 한문 위주여서 읽기 어렵고 연대는 간지(갑자,을축)로 되어 느낌이 오지 않습니다. ④ 추가와 수정은 보통 30년 간격인 차기 족보 발행 시에나 가능합니다. |
CD 족보 |
컴퓨터 기록 매체인 CD에 족보를 수록하고 이를 검색해 보는 방식입니다. 2003년 남평문씨 대동보 21권 내용을 컴퓨터 CD 1장에 담은 CD족보를 제작하였습니다. 1만장의 CD를 1억원에 만들었고 대종회에서 실비인 매당 1만원에 판매중이지만 현재 2,000여장 정도가 판매되었습니다. 족보이름 만으로 자신을 찾아 선조를 알게 되는 방식이라 찾아보기가 쉬울 뿐 아니라 가격부담이 없어 자녀나 손주에게 세뱃돈 대신이나 보너스로 주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CD족보의 문제점 ①추가나 수정은 차기 CD 발행시까지 기다려야 함은 종이족보와 같습니다. ②검색은 족보이름만 되고 자(字) 호(號) 아명(兒名) 호적명 등은 검색되지 않습니다. ③한문 위주여서 읽기 어렵고 연대는 간지(갑자,을축)로 되어 느낌이 오지 않습니다. ④정보기술의 발전으로 CD는 USB 메모리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여서 CD 이용 방식은 사양화 되고 있습니다. |
인터넷족보 (전자족보) |
컴퓨터 서버에 전자족보(PDF문서)를 만들어 놓고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검색해보는 최신 방식입니다. 준비작업으로 2022년5월부터 기존 족보(정축보)의 전자정보화 입력을 시작하였고, 2022년12월부터 각 문중의 협조 및 신청을 받아 추가 및 보완 작업을 해 오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부터 뿌리정보사에서 개발한 프레그람으로 본인의 이름만 입력하면 가계도, 세계도, 등등 여러가지 정보를 통계처리한 전자족보를 볼 수 있도록 검색방식을 대폭 개선하였습니다.
▣ 전자 족보의 장점 ① 누락자의 입력, 출생, 결혼, 사망 등의 내용 변경이 즉시 이루어집니다. ② 인터넷에 연결하여 봄으로 시력에 따라 확대나 축소해 볼 수 있습니다. ③ 족보명, 호적명, 별명 등으로도 족보를 검색해 볼 수 있습니다. ④ 한글이 기본이며 필요시 한문을 병기하고 간지는 서기로 변환하여 보기 쉽습니다. ⑤ 파보나 대동보가 필요할 경우는 족보 책으로 출판이 가능합니다.
▣ 향후 개선 보완하여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존 입력 자료의 오류 정정 ② 입력 누락자의 추가 등재
|
1982년 발행, 1995년 발행 남평문씨 대동보
2003년 제작한 남평문씨 CD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