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체메뉴 열기 모바일메뉴 열기
모바일 메뉴 닫기

뿌리공원 성씨유래비

뿌리공원 성씨 유래비

 

소재지 - 대전광역시 중구 침산동 산 34번지

 

대전 남구에서 효를 주제로 한 테마공원을 조성하고 토지를 무상 제공하였고  성씨의 상징 인 조형물은 각 성씨들의 문중 부담으로 설치하였다.  처음 개장시 72개 성씨가 설치되고  2008년 10월11일 2차 제막식에서 69개 성씨가 추가 설치하여 136개 성씨들이 조형물이 설립되었다.

남평문씨는 80번으로 옆에 팔각정이 있는 명당이다.

 

ylbi01.jpg

 

ylbi02.jpg

 

유래비 비문 내용

 

시조 무성공(武成公)은 전남 나주시 남평읍 풍림리에 있는 장자지(長者池)옆 문암(文巖)에서 오색구름이 감돌면서 태어났다고 전해오고 있다. 군주께서 양육하니 문사와 무략이 뛰어나 글월文자를 성으로 하고 이름을 다성(多省),자를 명원(明遠) 호(號)를 삼광(三光)이라 하였다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고려초 9품계의 향직중 첫째등급)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 후삼국 통일에 협력한 당대의 세력가들에게 내린 공신호임)에 오르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하고, 무성(武成)의 시호를 받았다

무성공이 탄강한 바위를 문암(文巖)이라 하고 문암을 보호하는 문암각을 남평문씨의 발상지로 하여 장자지 옆 장연서원(長淵書院)에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후손 익(翼)은 고려 숙종조에 우산기상시를 지내고 아들 넷을 두었는데 맏이는 공인(公仁)이니 인종조에 수상의 지위에 오르고 시호는 충의공(忠懿公)이다.

둘째 공원(公元)도 수상의 지위에 오르고 의종묘정에 배향되고 시호는 정경공(貞敬公)이다. 셋째 가관(可觀)은 조계종 대선사이고, 넷째 공유(公裕)는 강직한 명필재상으로 시호는 경정공(敬靖公)이며 글씨는 묘향산 보현사기(妙香山 普玄寺記)로 전해지고 있다.

공유의 아들 극겸(克謙)은 고려조 일대의 명재상으로 시호는 충숙공(忠肅公)으로 명종묘정에 배향되었다. 극겸의 아들후식(侯軾)은 신종 때 대부경과 동북면 지병마사로 유필(惟弼)은 고종조에 참지정사 판예부사를 지낸 명재상이다. 5대에 걸쳐 여러 명의 수상과 재상을 배출하고 귀족가문과 통혼함으로써 고려시대의 귀족문벌 가문이 되었다.

 

극겸의 손자 착(言卓)은 남제공(南濟公)으로 남제공파의 파조이고, 극겸이 5대손인 근(瑾)은 판도판서(判圖判書)로 판도판서공파의 파조이며, 려말(麗末) 달한(達漢)은 극겸의 6대손으로 찬성사를 지내고 순평군(順平君)으로 봉하였다.

극겸의 8세손인 구(龜)는 감천군(甘泉君)으로 감천군파 파조이고, 극겸의 9대손 익겸(益謙)은 충혜공(忠惠公)으로 충혜공파의 파조이다.

익점(益漸)은 극겸의 9대손으로 공민왕 때 목화씨를 전래하여 의류혁명의 대공을 세운 명유(名儒)로 우문관제학(右文館提學)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 증 영의정(領議政) 부민후(富民侯) 강성군(江城君)으로 봉하고, 시호는 충선공(忠宣公)이고 도천서원과 부조묘에 배향되었다.

 

문씨는 고려조에는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으나 조선조에서는 삼우당(三憂堂) 문익점(文益漸)이 절의를 지키고 은거 불사한 영향을 받아 벼슬한 이가 고려조에 비해 적은 편이다,  문씨는 단일본 으로 전국에 40만 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2008년 7월  29일

南 平 文 氏  大 宗 會